본문 바로가기

경제37

부동산 시장의 특성과 기능 부동산시장은 고가성, 개별성, 부동성, 부증성 등으로 불완전한 특성 때문에 불완전경쟁시장입니다. 따라서 균형가격이 성립되지 않고, 효율적 자원분배도 실패하기 때문에, 정부의 개입이 필요합니다. 부동산시장의 특징 이런 부동산시장은 일반 재화 시장과 다르게 부동산시장만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리적 위치의 고정성 (국지성) 부동산상품은 이동할 수 없어, 지역시장별로 초과수요 혹은 초과공급 현상으로 지역 간의 수급불균형이 발생하여도 이를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없습니다. 지역시장이 형성되고, 유사한 부동산이라 해도 부분 시장별로 서로 다른 가격이 형성되는 시장의 분화 현상이 나타납니다. 지역 특성의 영향을 받고, 지역시장별로 각각 상이한 통제와 규제를 받습니다. 부분 시장 : 하위시장이라고도 하며 전.. 2024. 3. 4.
부동산 경기변동의 구분 및 특징 일반적으로 경기변동이란 전반적인 경제활동 수준이 주기적으로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일정한 규칙성을 보이며 변동하는 현상을 뜻합니다. 여기에서 경기는 통화량, 이자율, 경제 현상, 정책, 재해, 질병 등의 여러 가지 경제변수들의 영향을 받아 지속해서 변화하고 있으며, 특정 국가나 지역은 고성장 추세를 지속하기도 하고, 이와 반대로 다른 국가나 지역은 저성장이나 침체국면에 있기도 합니다. 부동산 경기변동의 구분 부동산 경기변동의 개념 상업용이나 공업용 부동산경기에 비해 주거용 부동산 건축경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크기 때문에, 주로 부동산경기는 주거용 부동산 건축경기를 뜻합니다. 협의의 부동산경기 : 주거용 부동산 건축경기를 말한다. 광의의 부동산경기 : 주거용 부동산 건축경기에 상업용, 공업용 부동산 경.. 2024. 3. 3.
부동산의 수요, 공급의 개념 및 특징 부동산의 수요, 공급 이론은 부동산시장의 논리적 구조를 이해하는 분야로, 시장이란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가격이 결정되는 곳이고, 이렇게 결정된 가격이 다시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주는, 가격이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자원배분 기능을 수행하는 곳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수요 (demand) 수요의 개념 사전적 개념 : 일정 기간에 소비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나 그 양을 말합니다. 수요량이란 일정 기간에 주어진 가격수준에 대하여 소비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최대 수량을 말합니다. 실제 구입한 양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유효수요 : 구매 의사와 구매력(지불 능력)을 가지고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입니다. (구매 의사+구매력) 잠재수요 : 구매 의사는 있으나 지불 능력이 동반되지 못하는.. 2024. 3. 3.
부동산학의 이해 및 부동산 활동의 원칙 및 속성 부동산학의 이해 부동산학의 정의 부동산학이란 어떻게 하면 부동산활동을 바람직하게 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부동산 투자, 개발, 운영, 관리 등 다양한 부동산활동을 바람직하게 전개하여 부동산과 인간의 관계를 개선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부동산학의 학문적 성격 부동산학은 부동산활동의 능률화에 대한 이론 및 실무기술을 개척하는 종합응용과학입니다. 종합과학 : 부동산학의 연구 대상이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있고, 이론을 설명할 때 경제학, 법학, 건축학 등 여러 분야 학문의 지원을 받습니다. 응용과학 : 부동산 행위에 대한 실천과학으로, 인간과 부동산과의 관계 개선 혹은 부동산의 효율적 이용, 공평한 배분을 위한 이론 및 실천을 제시하여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사회과학 : 부동산학은 자연현상을 연구하는.. 2024.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