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37

세금 납부 기한 후 신고 및 수정신고에 대해 알아보기 세금 납부 기한 후 신고와 수정신고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한 후 신고 기한 후 신고란 법정 신고 기한이 지난 후, 관할 관청이 해당 국세 또는 지방세의 과세 표준과 세액을 결정하여 통지하기 전까지 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법정 신고 기한이 지난 후에도 납세자가 신고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과도한 행정력 낭비와 납세자에게 과중한 가산세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것입니다. 법정 신고 기한까지 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자는 기한 후 신고를 할 수 있다. (「지방세기본법」 제51조 제1항) 기한 후 신고 절차는 지방자치단체장이 「지방세법」에 따라 그 지방세의 과세표준과 세액을 결정하여 통지하기 전에는 기한 후 신고서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기한 후 신고서를 제출한 자로서 지방.. 2024. 4. 3.
납세 의무의 성립 및 확정, 소멸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기 납세 의무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세금을 납부할 법률상 의무를 말합니다. 이 의무는 세금이 부과되는 순간부터 발생하며, 세금의 확정과 납부, 그리고 소멸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성실한 납세자가 되기 위해 중요합니다. 납세의 의무 성립 (과세요건 충족할 때 추상적인 납세 의무 발생) ↓ 확정 (과세권자나 납세의무자에 의한 구체적인 납세의무 확정) ↓ 소멸 (납부 등으로 인해 소멸) 1. 납세 의무의 성립 납세 의무는 성립·확정·소멸의 과정을 거칩니다. 이때 납세 의무의 성립 시기란 세법의 정한 과세 요건을 충족한 때에 추상적으로 납세의무가 성립하는 시점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부동산을 취득할 때 그 취득자는 취득세를 납부할 의무가 발생하지만 아직 세금 계산이 되지 않았.. 2024. 4. 2.
지방세의 가산세 및 가산금 알아보기 지방세의 가산세와 가산금은 제때 납부하지 않거나 신고를 누락했을 때 부과되는 추가 비용입니다. 이는 성실한 납세를 유도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납세자는 이러한 가산세와 가산금에 대해 이해하고 있어야 불필요한 재정 부담을 피할 수 있습니다. 지방세의 가산세 무신고가산세는 납세의무자가 법정 신고 기한까지 과세표준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그 신고로 납부하여야 할 세액의 100분의 20에 상당하는 금액을 가산세로 부과해야 하며,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로 법정 신고 기한까지 과세표준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납부세액의 100분의 40에 상당하는 금액을 가산세로 부과하여야 합니다. 과소신고가산세·초과 환급 신고가산세는 납세의무자가 법정신고기한까지 과세표준 신고를 한 경우로.. 2024. 4. 1.
가산세의 특징 및 국세의 가산세에 대해 알아보기 가산세는 세법에서 규정하는 의무를 성실하게 이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세법에 따라 산출한 세액에 가산하여 징수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지방세의 경우는 가산금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 가산세의 특징과 국세 및 지방세의 가산세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가산세의 특징 가산세는 신고납부 의무 불이행에 대한 벌과금 성격으로 부과하나, 과태료나 벌금과는 구별됩니다. 가산세는 보통징수 방법으로 부과 징수합니다. 가산세는 해당 의무가 규정된 세법의 해당 국세 또는 지방세의 세목으로 합니다만, 해당 국세 또는 지방세를 감면하는 경우에는 가산세는 그 감면 대상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가산세는 납부할 세액에 가산하거나 환급받을 세액에서 공제합니다. 신고 행위와 납부 행위를 구별하여 신고.. 2024. 3. 31.